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우선, 인지세의 정의부터 알아보자. 

    인지세는 재산상의 권리의 변동, 승인을 표시하는 증서를 대상으로

    그 작성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즉, 계약서 작성할 때 내는 세금이다. 그런데 보통은 법무사에게 잔금 치면서 동시에 처리했다. 

    법무사가 잔금때 인지세 포함한 견적으로 돈을 받고, 인지세 취득세 등기를 모두 처리해주었는데

    이제는 인지세는 계약날 매수자가 내고, 추후 법무사는 인지세를 제외한 견적으로 돈 받고 등기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법무사 견적에 인지대가 포함되어 있다. 

    실제로, 작년까지 인지세 납부 지연가산세는 300%로 정해져 있었지만

    실제로 이렇게 부과는 안 되었다고 한다. 

     

    주요내용

    1. 법정납부기한(과세문서를 작성한 때) 후 3개월 이내 납부 시에는 미납세액의 100분의 100

    2. 법정납부기한 후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납부 시에는 미납세액의 100분의 200

    3. 6개월을 초과하여 납부 시에는 미납세액의 100분의 300을 가산세로 부과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아래의 기간내에 인지세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 가산세를 실제로 적용하기로 한것이다. 

    3개월 이내 : 100%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200%

    6개월 초과 : 300%

     

    특히 전매 되는 분양권을 매수하게 되는 경우! 
    인지세를 신경써야 한다. 


    💡  분양권 인지세의 경우에는 전매가능할 때, 집주인이 여러번 바뀌게 되고 등기는 몇년 후에 치게 되니, 잔금때 인지세를 납부하는 현 상황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보자. 

     

    1. 최초 분양받은 전전 집주인
    2. 전매 매수한 전 집주인
    3. 전매물건 다시 전매매수한 나

    💥이렇게 되면 등기후 인지세를 집주인 수만큼 내야 한다. 

    9억 이하라면 15만원씩 총 3번을 납부해야한다..

     

    만약에 전매가 가능한 집을 위의 예시 상황처럼 전매 2번을 거쳤다고 가정해 보자. 


    분양권 상태에서 집주인이 3번 바뀌었는데 6개월내 안내어서 가산이 300%다 이러면..

    집주인 3명분 ×3
    가산세 +300% 되겠다..

    9억 넘는 물건이면 35만원씩 3명분에다가 가산세는 35만원 *300% ....

     

    그러니 분양권의 경우에는 인지세 납부를 다음과 같이 이해하면 된다. 

     

    최초분양자 ->분양계약시 인지세 납부
    전매 매수시 -> 계약서 작성시 매수자가 인지세 납부하도록 한다. 
    전매물건 2번째 전매 매수시-> 계약서 작성시 매수자가 인지세 납부 하도록 한다. 

    사례

    발주자인 갑과 시공사인 '을'이 계약금액 11억원의 건설공사 계약서를 2021.1.1. 작성하고 서명날인 하였으나 인지세 35만원을 납부(수입인지 구매 하지 못한 것을 늦게 발견하고

    1. 2021.3.31. 인지세를 납부한 경우

    → 본세 35만원, 납부지연가산세 35만원x100%=35만원, 총 70만원

    2. 2021.6.30. 인지세를 납부한 경우

    → 본세 35만원, 납부지연가산세 35만원x200%=70만원, 총 105만원

    3. 2021.7.1. 인지세를 납부한 경우

    → 본세 35만원, 납부지연가산세 35만원x300%=105만원, 총 140만원

    위와 같이 본세 및 납부지연가산세가 적용됨

     



    자, 이제 인지세 가산세를 방지하기 위한 꿀팁을 알려드립니다.

    💡 인지세는 쿠폰 같은 개념이니, 미리 발급해두어도 된다. 10억까지는 15만원이니 미리 인지대를 사두고 계약시 제출해도 된다.

    💡 그래서 요즘은 분양 받을때 시행사에서 수분양자에게 인지세를 받아서 일괄로 인지세 납부를 한다고 한다. 

    💡 126에서는 가산세없다고 명확히 답변은 안해준다고 하고, 인지세 가산세 관련하여 간담회 (2021.08.24) 이전건에대해서는 가산세 부과하지않고 그 이후건부터 부과하는걸로 대충 가닥이 잡힌듯... 어렵구나...

     

    반응형